경기도 ‘사이버침해 대응센터’구축 운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9-01-13 11:12본문
경기도 ‘사이버침해 대응센터’구축 운영
해킹.바이러스 유포, 정보유출 등 사이버침해에 신속 대응
경기도는 금년에 총 16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최근에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날로 지능화하고 있는 해킹과 바이러스, 정보유출 등 사이버침해에 신속히 대응하기위해 보안관제시스템과 최첨단 정보보안시스템을 탑재한「경기도 사이버침해 대응센터」를 구축한다.
그 동안 도는 정보보호시스템,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 자료유출방지시스템 및 백신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사이버 침해에 대응해 왔으나, 금년 상반기에 사이버침해대응 종합상황실을 독자구축하고 ‘보안로그 취합분석시스템’, ‘유해트래픽 모니터링시스템’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유해트래픽을 수집.분석해 도의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해킹, 바이러스 등 사이버 위협이나 공격이 발생할 경우 즉시 대응 조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조직개편에 맞춰 정보보호 전담팀을 신설하고 전담요원 4명을 배치하는 등 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행정정보·개인정보 유출 및 오·남용 방지를 위한 감독기능을 총괄 담당하게 하였다.
이와 함께 2010년에는 2단계로 1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하여 사이버침해 대응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게 되며, 시.군의 주요정보시스템까지 보안 관제를 확대하고 행정안전부 등 타 기관과도 보안침해사고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여 해킹·바이러스 침투 등 사이버 보안위협에 공동 대응함으로써 정보수집과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정보화기획단장은 “보안관제시스템이 도입되고 ‘사이버침해 대응센터’가 구축되면 지금까지 국가정보원의 사이버안전센터와 행정안전부의 보안 관제센터에 의존하던 사후대응에서 예방중심의 사전대응 체계로 전환하게 됨으로써 사이버침해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유형분석에 의한 대응능력 향상으로 도의 사이버침해 대응 수준이 한 차원 높아지고, 사이버위협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신뢰받는 전자도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