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정책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9-02-17 11:56본문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정책 추진
경기도는 올해 여성의 경제.사회활동 참여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가정보육교사제도 운영과 취업여성의 자녀에게 출생 후 24개월간의 보육료 지원 등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보육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저소득층의 육아부담 경감 및 공보육 실현을 위해 보육료 지원 계층을 확대하여 저소득층 차등 보육료, 장애아동 보육료, 두자녀 보육료, 만 5세아 보육료를 총 245천명에게 지원하여 보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할 계획이다.
또한 보육시설 개선을 통하여 보다 쾌적한 보육환경이 될 수 있도록 국공립보육시설을 확충할 예정으로서 저소득층 밀집지역 등 취약지역에 2010년까지 450개 보육시설을 확충하여 공보육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장애아 보육시설 환경개선을 위해 안성시에 시설 개보수비 3천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0세아 전용시설 운영지원, 영아 및 장애아 보육, 시간연장 보육 등 수요자 중심의 전문성과 난이도가 요구되는 취약 보육서비스도 활성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다.
한편, 보육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육시설 종사자 3,580명에게 636억원을 지원하고 보육시설 종사자 7,200명에 대한 보수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보육교사와 보육시설에 대한 지원도 차질 없이 시행하여 보육시설 우수프로그램 개발.보급 및 보육교사교육원 보수교육비 지원과 보육교사교육원 실기발표회 등을 추진해 나간다.
변화하는 보육환경에 대응하고 수준높은 보육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육시설 교재 교구비 및 농어촌지역 등 차량운영비를 89억원 지원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평가인증 제도의 참여를 위한 홍보와 간담회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보육아동과 보육시설에 필요한 보육프로그램 안내 등 보육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보육정보센터 운영을 지원하고,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원활한 보육교사 수급을 위한 교사수급 체계를 강화한다.
아울러 보육행정의 수요자 참여기회 제공을 위해 보육정책에 관한 의견 수렴 및 개선대책 논의와 사업계획 수립 등을 위한 심의 기구인 경기도보육정책위원회 운영을 활성화 하고, 보육정책과 보육시설 운영에 대한 의견제시 등을 통하여 개선대책을 논의하는 보육부모 모니터링단을 운영할 계획이다.
특히, 부모들의 다양한 보육서비스 욕구충족 및 취업여성의 경제.사회활동 제약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가정보육교사제도(출생후 36개월 미만을 대상으로 하되 부모 희망시 5세까지 보육가능)는 전국 최초의 획기적인 선진 보육정책 사업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활성화 하는데 일조가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