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90%, “물 재난 정보시스템 필요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6-08-25 10:10본문
경기도민 90%, “물 재난 정보시스템 필요하다”
국내 재난대응체계는 행정체계 분산, 재난기준·해석기법 달라 통합관리 어려워
경기도민이 우려하는 물 재난은 ‘수질오염사고’와 ‘가뭄’이며, 대부분의 도민들이 물 재난 정보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물 재난 정보시스템 도입 방안과 빅파이 프로젝트와의 연계 전략을 제시한 <물 재난 대응 정보시스템, 수요자 중심으로 바꾸자!> 보고서를 출판했다.
경기도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물 재난 인식조사 결과, 경기도민이 가장 우려하는 물 재난은 수질오염사고(47%)와 가뭄(44%)이며, 가장 신속하게 알고 싶은 정보는 수질오염사고(57%), 홍수(32%), 가뭄(11%)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답자의 90%가 물 재난 정보제공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법적근거 하에 통합적 재난대응 시스템을 갖춘 선진국과 달리, 국내의 경우 행정체계 분산으로 관련 부처 및 공기업에서 물 재난 대응시스템을 개별 구축하고 있고, 각기 다른 재난기준과 해석기법을 적용되고 있어 혼선을 가중시키고, 재난 발생 시 즉각 대응이 어렵다.
이기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물 재난 정보시스템 도입 방안으로 ▲지역 수요자 중심의 가뭄정보제공 시스템 도입 ▲수문레이더를 활용한 홍수경보체제 구축 등 ICT 기반의 물 재난 정보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물 재난 발생 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주민과 즉각 조치를 취해야 할 지방정부 중심으로 물 재난 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차원에서 실시간 수문정보를 이용한 ‘(가칭) 경기도 가뭄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역이 원하는 수자원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를 통해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의 공급 상태를 4~5단계로 구분하여 읍·면·동 지역별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한 홍수경보를 위해 수문레이더(X-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홍수경보시스템을 구축하면, 100m×100m의 소규모 지역에 대한 강우정보를 1분 간격으로 분석할 수 있어 마을단위의 국지성 호우 피해까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경기도가 추진 중인 빅파이 프로젝트 사업은 ICT 발전을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ICT 기반 물 재난 대응 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기 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빅파이 프로젝트와 연계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고 제언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은 IT와 통신이 결합된 개념으로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재난에 의한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