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급행버스 노선에 대규모 환승거점 정류소 설치 > 경기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기뉴스

간선급행버스 노선에 대규모 환승거점 정류소 설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9-05-15 09:48 댓글 0

본문

간선급행버스 노선에 대규모 환승거점 정류소 설치

9월까지 첨단시설 갖춘 환승거점 정류소 8개소 설치

지난해 9월 20일부터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좌석형 버스까지 확대 시행됨에 따라 교통 혼잡이 심한 2개 간선축을 대상으로 서울도심까지 빠르게 운행하는 15개 간선급행버스 노선을 시범 운행한 결과 이용객수가 급속히 증가하여 이용객의 교통편익증진과 환승의 활성화를 위해 출퇴근 이용객이 많은 환승 정류소 8곳을 선정, 금년 9월까지 첨단시설을 갖춘 대규모 시설로 개선한다.

그동안 경기도는 버스노선의 이용수요에 따라 소규모 정류소를 설치하여 운영하여 왔으나, 간선급행버스제도를 도입하면서 기존 환승정류소를 이용하는 출퇴근 이용객이 급속히 증가하고 일부 정류소의 승차대기행렬이 100m이상 길어짐에 따라 이용객의 불편이 초래되어 기존 정류소 규모로는 이용수요를 충족할 수 가 없었다.

이번에 개선되는 환승거점 정류소는 규모를 간선급행버스 이용수요에 따라 목적지별로 쉘터 1~3개를 연결하여 최장 24m길이로 주변실정에 맞게 설치하고, 쉘터간 일정간격을 두어 1개 쉘터에 간선급행버스가 동시에 2대 이상 정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객들이 환승이용에 편리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쉘터의 모형은 도 정체성이 담긴 디자인을 도입한다. 정류소 상단부에 G마크 사인을 설치하여 경기버스의 정체성과 상징성이 담긴 공공시설임을 표현하였고, 전통 한옥의 칸을 상징하는 기둥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전통의 멋을 살렸으며 새의 날개를 펼쳐 비상하는 새의 이미지를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환승거점 정류소에는 이용객 편의 증진과 환승이 용이하도록 첨단시설을 설치한다. 버스노선별 도착 예정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버스도착 정보안내기(BIS 단말기)를 설치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였고, 장애우와 노인, 어린이 등 노약자들의 편의를 위해 탑승도우미, 점자유도타일, 낮고 넓은 벤치 등을 설치하여 버스를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했다.

설치 장소는 ▲성남시 2곳은 이매촌 한신아파트 앞 상·하행선(쉘터 6개)이며, ▲용인시 6곳은 명지대사거리(쉘터 2개), 보정역(2개), 지역난방공사 앞(2개), 연원마을 앞(1개), 현대1차아파트 앞(1개),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앞(1개)이다.

이매촌한신아파트 앞 상행선 환승거점 정류소의 경우 서울방향 이용객은 지선버스 102번, 116, 1001 등 20개 노선을 연계하여 간선급행버스 8130번, 8130, 8133, 8151번으로 환승해서 서울방향으로 통행하면 서울 목적지까지 25분 정도(간선급행버스 전체 평균) 단축할 수 있다. 이 정류소는 ‘09.3.17일 현재 일일 13,089명이 이용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도·시비 모두 652백만원이 투입되며, 현재 환승정고, 금년 9월이면 모두 완공될 예정T-INDENT: 5pt; LINE-HEIGHT: 130%">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환승거점 정류소가 설치되면 서울방향 간선급행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더 좋은 대중교통서비스를 받게 된다며, 앞으로도 이용자 눈높이에 맞는 간선급행버스 환승거점 정류소를 확대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108개소의 환승거점 정류소를 새롭게 개선해 버스이용자들에게 교통편의를 제공한 결과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로부터 좋은 호응을 받았다.

4030.jpg

간선급행버스(간선급행버스와 출근형 급행버스)란 기존 노선버스 일부를 전환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굴곡구간을 직선화하고 이용수요가 많은 경기도지역 정류소 4개소만 정차하고 서울도심까지 빠르게 운행하는 버스를 말함

수도권 통합요금제 확대실시(‘08.9.20)에 따라 간선급행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09년에도 확대 계획으로 노선별 분석, 상반기 시행예정 임

- 간선급행버스 : 15노선 운행, ’09년도에 25노선으로 확대계획

- 출근형 급행버스 : 25노선 운행, ‘09년도에 35노선으로 확대계획

Copyright © sungnammail.co.kr.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성남도시신문 l문화공보부 등록번호 다-1049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1989년 4월 19일
인터넷신문 : 성남도시신문 | 등록번호 경기 아 00011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2005년 10월 21일 ㅣ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희망로87:(주)도시플러스 전화 : (031)755-9669, e-mail: press8214@hanafos.com 법인사업자 660-81-00228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