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정원은 동결 신규행정 수요는 해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8-11-12 10:02 댓글 0본문
경기도, "정원은 동결 신규행정 수요는 해결"!
경기도는 어려운 경제현실과 급변하는 정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원은 동결, 신규행정 수요는 해결”이라는 대원칙 하에 재정업무를 일원화하고 유사.중복기능을 통.폐합함은 물론,
업무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무재배분, 전문화된 사무처리를 위한 비대 과기능 분리, 광역정책기능 수행을 위한 인력구조 고도화, 유연성 있는 조직운영을 위한 제도정비 등 실용적이며 효율적인 조직개편 계획을 발표하였다.
주요 개편내용을 살펴 보면, 첫째, 깨끗한 공직사회 풍토 조성을 위한 자체감사기능을 강화코자 지역으로 구분된 1,2청 감사기능을 감사관이 총괄 조정하고 행정1부지사.행정2부지사가 지휘할 수 있도록 체제를 개편하였다.
둘째, 재정의 합리적 재배분 및 집행의 적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재정업무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전담할 재정기획관을 신설하고 현재 기획조정실, 자치행정국으로 분산된 예산, 재정, 세정 기능을 기획조정실로 일원화하였다.
경기도 재정을 총괄.조정할 재정기획관(3급) 직위신설은 행정안전부에 건의, 협의중에 있다.
셋째, 행정수요가 감소하고 기능이 유사하여 통합조정이 필요한 부서는 통폐합하고 신규 행정수요를 보강하였다.
신도시 개발사업의 통합조정력을 강화하고자 평택개발지원단과 광교 개발사업단을 신도시개발과로, 2청의 기획예산담당관과 행정관리담당관을 기획행정담당관으로 통합하고, 접경지 개발 등 군 협력 업무를 전담할 군관협력담당관을 신설하였다.
넷째, 업무효율성 증대를 위해 소관부서를 재배치하고 비대 과 기능을 분리하였다.
자체감사 기능의 효율적 수행과 계약사무의 일원화를 위해 계약심사과를 감사관에서 자치행정국으로, 투자.통상 업무연계 및 대외적 정책조정 기능 강화를 위해 행정1부지사 직속의 국제협력관을 경제투자실로 조정하고, 자연공원과 도시공원 기능 일원화 및 업무 전문성 제고를 위해 산림녹지과를 농정국에서 환경녹지국으로 소관 부서를 조정 하고, 과 기능이 비대(50명)한 자치행정과를 자치행정과와 인력운영과로 분리하여 인력운영의 전문성을 확보하였다.
다섯째, 저탄소 녹색성장, 식품안전 등 신규행정수요 보강을 위해 전담부서를 신설하였다.
저탄소 녹색성장 에너지정책을 전담할 녹색에너지정책과 신설, 식품안전 및 농수산물 안전관리 기능 일원화를 위한 식품안전과 신설,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문화콘텐츠진흥과 신설, 수질오염총량제 실시에 따른 수질오염총량관리과 등 신규행정수요에 대한 기능을 보강하였다.
또한, 경기도 역점 시책사업의 성공적인 업무추진을 위해 유니버설 스튜디오 사업을 전담할 USKR T/F팀, 개발가용지 및 개발제한구역 등의 공간정책을 전담할 토지이용T/F팀, 북부지역의 산업.OC.화 등 정책개발을 전담할 북부전략 T/F팀 등 전문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전담조직을 신설하였다.
여섯째, 유연성있는 조직운영과 기구정원 관리의 탄력성을 위해 제도를 정비하였다.
종전에는 직급별 정원을 정원관리 기관별로 규정하여 본청과 소속기관간 정원 이동시 수시로 조례를 개정해야 하는 등 탄력성이 제한되어 왔으나, 5급이하 정원은 규칙으로 규정하고 총정원과 기구와 관련있는 4급이상만 조례로 정하여 행정수요에 따른 기관별 정원이동이 용이해져 신축적인 정원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종전 행정안전부령에서 규정했던 정원의 종류별, 직급별 정원 책정 권한이 자치단체 조례로 이양됨에 따라, 광역행정과 정책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도의 행정체제에 맞게 7급이하 정원비율을 축소하고 5․6급 정원 비율을 확대하는 등 인력구조의 고도화(항아리형)를 통해 업무수행능력 강화와 행정의 책임성을 확보토록 했다.
경기도의 이번 조직개편안은 어려운 경제현실을 감안한 새정부의 공무원 정원동결, 감축기조 방향에 맞추어 정원증원 없이 자구책을 강구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개편안이라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