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 문화융성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다 > 포커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포커스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 문화융성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15-02-16 16:08

본문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 문화융성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다



박근혜 대통령은 11일 서울 상암동 CJ E&M 센터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 참석하여, 창조경제의 핵심인 문화콘텐츠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문화창조융합벨트’의 첫 번째 거점으로 융복합 컨텐츠의 기획 기능을 담당하게 ‘문화창조융합센터*’를 방문하여 주요 시설을 시찰했습니다.
 

 * 금일(2.11(수)) 개소, 서울 상암동 CJ E&M센터 1·2층에 조성

출범식 이후 문화콘텐츠 업계대표, 예비·초기 창업자 등 140여명과 오찬을 함께하며, 콘텐츠 업계를 격려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금번 방문은 문화콘텐츠 산업의 ‘빅뱅’을 통해 문화융성을 이루고, 경제혁신과 국민행복을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제조업과 ICT 등 ‘기술’ 중심의 창조경제에서, ’문화’ 콘텐츠 산업으로까지 창조경제의 폭과 깊이를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의미입니다.

‘문화융성’을 위해 문화콘텐츠 업계와 정부·유관기관 역량 모두 결집

 o 영상·음악·패션·음식·게임 등 문화콘텐츠 전분야의 대표기업*·기관이 콘텐츠 분야 최대규모(64개기관)의 다자간 MOU를 체결, ‘문화창조융합벨트’에 참여
 

* 영화·영상 : 롯데시네마, 쇼박스, CJ E&M / 음악·공연 : SM, YG, JYP
    패션 : 제일모직, LF / 음식 : 신세계푸드, 제네시스, CJ푸드빌
     플랫폼·게임 : 네이버, 다음카카오, 넥슨코리아, 넷마블게임즈 등

 ㅇ 문체부·금융위·중기청·문화융성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KOTRA·정책금융기관 등 문화콘텐츠의 기획·사업화를 지원하는 공공부문도 모두 참여
  ※ 출범식에서는 문화산업 전분야의 정부, 공공기관, 민간기업 총 64개 기관(중복제외)이 참여하는 4개 분야 8건의 MOU가 체결될 예정

① 문화창조융합벨트 구축 MOU (5개 MOU, 19개 기관)
   - 문화창조융합벨트 구축, 문화창조융합센터·문화창조벤처단지·문화창조아카데미·(가칭)K-Culture Valley 조성 및 운영을 위한 MOU 체결

② 문화창조융합벨트 운영을 위한 협력 MOU (41개 기관)
   - 영상·미디어, 공연·음악, 패션, 뷰티, 음식, 플랫폼·게임 등 문화산업분야별 대표기업과 유관기관,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지역혁신기관이 참여

③ 대표 한류 융복합 콘텐츠 개발 및 사업화 시범사업 MOU (5개 기관)
   -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17년까지 대표 융복합 문화콘텐츠를 제작

④ 문화콘텐츠 분야 유망프로젝트 및 창업·벤처기업 금융지원 MOU (12개 기관)
   - 문체부·금융위·중기청과 정책금융기관 등이 2,600억원 규모의 투융자펀드 조성

‘17년까지 융복합 문화콘텐츠의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인재육성 ·R&D)가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인 ‘문화창조융합벨트’를 구축, 문화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Value-Chain)에서 약한 고리를 집중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거점을 순차적으로 구축

 [콘텐츠 기획·개발]
 o 문화창조융합센터(2.11 개소, 상암 CJ E&M센터 1,2층)
  * 융복합 콘텐츠 기획에 필요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스토리, 기존 창작물(콘텐츠), 글로벌 문화트렌드 등에 대한 집적된 DB를 제공
 
 o 전통설화·무용 등 무형자산 디지털자료, 글로벌 문화·소비트렌트 분석자료 등

 o 준프로급 창작자들이 콘텐츠를 최종 완성하거나 데뷔·성장을 하는 데에 필요한 분야별 최고전문가로부터의 1:1 멘토링 지원
  * 방송계의 스타PD·작가가 정식데뷔를 희망하는 작가지망생의 기획안 멘토링. 창작자들이 갖추기 힘든 실제 상업용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는 전문 장비와 시설을 제공하여 완성도 높은 시제품 제작 지원 등
 

 * 모션스튜디오를 이용하여 비보이의 춤을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구현 등

 [콘텐츠 제작·사업화]
 o 문화창조벤처단지(15년 말 개소, 중구 한국관광공사 건물)
  *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벤처기업들이 집적하여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사무실과 제작시설 제공
  * 3층 제작공간, 13~17층 창업·벤처 기업 입주공간 등

 o 제작된 콘텐츠에 대한 투자유치 및 해외진출에 필요한 지원을 원스톱으로 실시하고, 법률·컨설팅·홍보 등 지원 범위 점차 확대
  * 1~2층 콘텐츠 시연공간, 11~12층 문화콘텐츠 종합비즈니스 센터 등

[R&D, 인재육성]
 o 문화창조아카데미(16년 말 개소, 홍릉 KIET 부지)
  * 민간·기존교육기관이 하기 힘든 이종 분야 간 교차교육 및 실습을 통해, 융복합 콘텐츠 창작자·공연 인재의 저변 확대
  * 문화장르간 융합, 타산업(IT/농업/관광/의료/제조) 접목 커리큘럼 운영 등

 o 융복합 문화콘텐츠 구현에 필요한 융합 기술(음향·조명·디스플레이·특수효과 등) R&D를 지원·확산하여 다양한 콘텐츠 기획 뒷받침
  * 문화콘텐츠와 관련한 융합 기술 연구, 기존 R&D 성과물 통합관리 및 확산

[콘텐츠 구현]
 o (가칭) K-Culture Valley (17년 말 개소, 경기도 고양시)
  * 경기도·고양시 및 CJ가 주도하는 민간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약 1조원(부지가격포함, 약 10만평)을 투자하여 대규모 한류 콘텐츠 구현 거점 조성

 o 태양의 서커스·난타와 같은 융복합 공연을 위해 특화된 국내 최대규모(약 1,500석)의 맞춤형 융복합 공연장 조성

  o 영화·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생산이 이루어지는 스튜디오 및 주요장면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한류콘텐츠파크 조성으로 문화생태계 구현

 o 한류 콘텐츠를 접목한 숙박·식음료·상품판매 시설을 조성하여 글로벌 한류 체험 공간(“한류스트리트”) 마련

 o K-Culture Valley 조성으로, 향후 10년간 총 25조원의 직·간접 경제효과와 17만명의 고용창출 기대


문화융성위원회 산하에 민관 합동 ‘문화창조경제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문화창조융합벨트를 총괄 기획·구축*
  * 특위는 융·복합 부문(융·복합공연/미래디지털/창조엔터테인먼트/글로벌콘텐츠), 문화마케팅 부문, 문화기술연구 부문으로 구성

다른 문화콘텐츠 관련 시설 및 전국 창조경제 혁신센터 등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확대·발전하는 ‘열린 생태계’로 조성

 ㅇ 문화창조융합센터를 전국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기업·육성기관 및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 융복합 콘텐츠 기획의 거대한 네트워크 형성 금일 MOU 체결)
  * 콘텐츠코리아랩(15.2월까지 전국 5개소 개소)의 아마츄어 육성과정을 마친 유망 창작자를 문화창조융합센터의 준전문가 대상 콘텐츠 기획 지원과정으로 연계
  * 영상·음악·패션·음식·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멘토링 수요는 문화창조융합벨트에 참여하는 각 분야 대표기업과 협력(전문가/전문시설 연계)하여 지원
  *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문화콘텐츠 관련 멘토링을 융합센터에서 지원하여 전국 어디에 있더라도 분야별 최고 전문가와 시설을 지원

 ㅇ 문화창조벤처단지와 문화창조아카데미도 각각 민간 법률·특허·컨설팅·홍보 등 서비스 집적과 민간 기업·연구기관과의 협업으로 기능 강화 (15년 말, 16년 말 개소식시 관련 MOU 체결 등)
  * 특정 융복합 콘텐츠 구현에 필요한 제작기술·인력과 특허·홍보 등을 민간콘텐츠 회사, 벤처단지, 아카데미가 프로젝트 단위로 협업하여 추진 등 → ‘태양의 서커스’도 국립서커스학교(‘81), 생미셜집적지구(‘95~03)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완성

 ㅇ 문화콘텐츠 구현거점도 (가칭)K-Culture Valley 뿐 아니라, (가칭)제주 중문단지 융복합공연장*(‘18년) 등 민·관이 조성하는 다양한 콘텐츠 구현시설과 연계하여 문화콘텐츠 관광 프로그램화하는 등 시너지 제고
   * (가칭)제주 중문단지 융복합공연장

 o 유망 문화콘텐츠 프로젝트와 창업·벤처 기업 육성을 위해 2,600억원 규모(투자 :600억원, 정책금융 : 매년 2,000억원)의 투융자 펀드를 구성·운영

 ㅇ 유망 프로젝트와 창업·벤처기업에 각각 300억원씩 총 600억원* 투자
  * 문체부(100억원), 중기청 모태펀드(100억원), CJ(100억원), 금융권 유망서비스업 지원펀드(300억원) 공동으로 조성

 ㅇ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문화콘텐츠 기업 성장 단계별*로 연간 2,000억원 지원
  * 창업초기자금·기업금융 : 우대보증,  프로젝트자금 : 완성보증 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성남도시신문 l문화공보부 등록번호 다-1049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1989년 4월 19일
인터넷신문 : 성남도시신문 | 등록번호 경기 아 00011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2005년 10월 21일ㅣ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희망로87 (주)도시플러스 전화 : (031)755-9669, e-mail: press8214@hanafos.com 법인사업자 660-81-00228

Copyright ⓒ 2001 sungnammail.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