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저탄소 녹색성장 및 온실가스 저감조치‘총력’ > 주요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주요뉴스

성남시 저탄소 녹색성장 및 온실가스 저감조치‘총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9-03-03 10:43

본문

성남시 저탄소 녹색성장 및 온실가스 저감조치‘총력’

자동차 공회전 자동 정지 시스템 확대키로

성남시가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관용차량에 ‘자동차 공회전 자동정지 시스템’을 도입한데 이어 시내버스 100대 등에도 시스템 장착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공회전 자동정지 시스템’은 차량이 주·정차나 신호 대기시 불필요한 공회전을 자동으로 정지시켜주는 시스템으로 온실 효과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20% 가량 줄일 수 있다.

이번에 성남시가 장착한 시스템은 차량 주·정차시 기어 중립 상태의 안전모드에서만 작동(OFF/ON)하기 때문에 안전하며, 가솔린, 디젤, LPG, CNG 등 모든 엔진 형식과 모든 전압(12-24V)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크다.

시는 관용차량 10대에 ‘자동차 공회전 자동정지 시스템’을 장착, 지난달 16일부터 운행하고 있다.

또 지난해 5월부터‘자동차 공회전 자동정지 시스템’을 시내버스 5대에 시범 장착·운영해온데 이어 올해 안에 총 3천5백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내버스 차량 100대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시는 공회전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이 연간 약 1조7천억원임 것을 감안, 수정구 탄리사거리 등 관내 2개 교차로 4개소에 공회전 제한과 시민의식계도를 위한 에코-존(Eco-Zone)을 다음달까지 설치할 계획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성남지역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은 지난 10년 동안 23%가 늘어 270만6천톤CO2(Tons of Carbon Dioxide;이산화탄소톤)인 것으로 최근 조사됐다”면서 “쾌적한 성남시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공회전 자동정지 시스템 장치 확대 보급 뿐아니라 탄소캐쉬백 제도의 홍보 강화, 천연가스차량 130대 추가 보급 등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다각적인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3673.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성남도시신문 l문화공보부 등록번호 다-1049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1989년 4월 19일
인터넷신문 : 성남도시신문 | 등록번호 경기 아 00011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2005년 10월 21일ㅣ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희망로87 (주)도시플러스 전화 : (031)755-9669, e-mail: press8214@hanafos.com 법인사업자 660-81-00228

Copyright ⓒ 2001 sungnammail.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