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시티 성남의 미래 > 주요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주요뉴스

유비쿼터스 시티 성남의 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07-04-30 17:43

본문

유비쿼터스 시티 성남의 미래

『u-City 성남 프로젝트』16대 사업

1259.jpg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에 사는 이중원씨는 출근을 하기 위해 버스정류장으로 갔다. 정류장에 도착한 이씨는 휴대폰으로 버스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기다리면서 휴대폰으로 메일을 검색한다.

잠시 후 버스가 도착하고 이씨는 u-성남 스마트카드로 요금을 지불한 후 빈자리에 앉는다. 회사로 가는 동안 휴대폰으로 내부망에 접속, 오늘의 스케줄을 확인한다. 나른한 오후 갑자기 전화벨이 울려 받고 보니 퇴근할 때 맛있는 케익을 사오라는 딸아이의 앙증맞은 얼굴이 바로 눈앞에 있는 느낌이다. 성남시 전역에 설치된 와이브로망 덕분에 생생하게 동영상이 전달되는 것이다.

이씨는 회사에서 열심히 일하는 동안 한통의 문자메시지를 받았는데 아침에 출근하면서 모바일페이지로 예약 신청한 책이 도착하였다는 메시지였다. 퇴근길에 중앙문화정보센터를 방문,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책을 대출받고 나오면서 성남시 지역포탈에 가입된 제과점에 들려 케익을 사고 스마트카드로 결재한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지역포탈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할 경우 별도의 누적포인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예전과 달리 스마트카드 하나로 성남시 관내의 공공도서관과 문화센터 그리고 지역포탈 가맹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자 여간 편리한 것이 아니다.

귀가하여 가족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 이씨는 잠자리에 들기 전 컴퓨터 앞에 앉아 성남시 지역포탈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국어 강좌를 저렴한 가격으로 수강한 후 잠자리에 든다.』

『성남시 상수도 시설관리업무 부서는 판교신도시에 무인관로검지시스템이 설치된 이후 이를 이용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하여 누수예방관리가 수월하게 됐다. 중원구청에서는 U-교통,관제시스템을 활용하여 불법주정차를 단속함에 따라 불법차량이 감소하고 교통체증도 눈에 띠게 줄어들었다.』

앞서 소개한 여러 사례들은 성남시가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도시환경에 최첨단 IT기술을 접목한『U-City 성남 프로젝트』가 만들어내는 성남시의 미래 생활 모습이다. 요즘 흔히 듣는‘유비쿼터스 시티’의 미래상인 것이다.

성남시는 지난해 5월에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하고 전국 최초로 U-City추진팀을 신설하는 등 U-City 구축사업에 강력한 추진의지를 가지고 올해 제1단계 선도사업을 시작으로 제2단계 확산사업, 2010년이후 제3단계 고도화사업 순으로 1,483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U-Life, U-Care 등 16대 사업(도표1 참조)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진행되는 판교 U-City사업은 성남시를 비롯한 경기도, 한국토지공사, 한국주택공사 등 4개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해 추진하는 것으로,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하산운동・삼평동 일원에 총 930만7000㎡ 규모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주관 시행자는 한국토지공사가 맡고 있다.

약 500억원 가량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은 4월부터 시행되는 실시설계로 안심서비스 / 원격교육 / 유무선 포털 / 모바일민원 / 미디어보드 / 환경오염정보 / 기상정보 / 상수도누수관리 / 교통약자안전 / 영상감시CCTV / 교통제어 / 대중교통정보제공 등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상세구현방안들이 수립될 예정이다.

2007년은『U-City 성남 프로젝트』의 16대 사업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들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설계 사업에 착수하는 해이다. 이 사업을 통해 시는『U-City 성남 프로젝트』와 연계사업(지능형교통체계, 판교 U-City사업 등) 간의 중복투자부분을 없애고 최종적으로 각 사업 간의 통합방안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설계가 완료되면 시민의 체감도가 가장 높다고 예상되는 서비스를 선정, 시범사업으로 추진하여 대민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고취 및 2단계 확산사업으로의 전환이 용이토록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시는 성남 및 판교u-City와 지능형교통체계(ITS)를 통합운영 할 도시통합정보센터를 여수동 신청사내에 구축토록 결정하여 도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으로 시민의 귀중한 생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함은 물론, 도시 공공시설의 원격관리 가능으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러한『U-City 성남 프로젝트』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가장 어려운 사항은 역시 재원확보 문제이다.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시의 재정만으로 추진하기엔 부담이 큰 실정으로 이를 타개하기 위해, 성남시는 우선 자체예산으로 기본사업을 추진하고 정책사업은 각종 투융자 유치를 통해 추진 할 계획이다.

이에 행정기획국장을 단장으로 하는‘국・도비확보추진단’을 구성하여 재원확보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BTL, BTO와 같은 민자유치 방안도 적극 강구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경원대학교, 광운대학교, 전자부품연구원과 MOU(양해각서)를 체결하여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첨단 IT기술에 관한 자문과 정보를 얻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학・연 간의 긴밀한 교류는 보다 완벽한 『U-City 성남 프로젝트』구축은 물론 지역발전 및 해당기관들의 발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성남시는 U-City 구축을 통하여 시민에게 첨단정보도시로서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이를 통해 성남시는 도시의 브랜드가치를 한층 높여 초일류 도시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게 될 것이다.

『u-City 성남 프로젝트』16대 사업

기본사업
행정정보포탈
○ 분산 및 단절된 행정정보 접속창구를 통합/공동활용을 위한 단일화로 업무 효율화와 그룹간 의사소통 활성화 추구
행정혁신통합시스템
○ 내부 혁신역량강화를 통한 성과, 고객중심의 업무프로세스 관리와 시정전략실행의 지원으로 자치행정 혁신 역량강화
IT자원통합관리시스템
○ IT자원에 대한 표준 관리체계 정립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관리대상의 명확한 정의와 전체 Life-Cycle 관리기능 구현
민원통합컨택서비스
○ 다양한 채널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하나의 접점에서 처리하여 시민에게 실질적인 One-Stop 민원처리를 행정담당자에게는 민원처리에 소요되는 업무시간 단축
통합복지네트워크
○ 일반적인 복지지원에 국한하지 않고 정확한 수요조사 및 타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효과의 극대화와 다양한 계층 지원확대
u-산업지원서비스
○ 지역경제의 기반이 되는 관내 업체를 대상으로 다양한 경영지원, 판매연계 및 박람회 출품 등 기업활동 영위를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
u-통신인프라
○ U-City 구축에 기반이 되는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망 구성을 위해 광대역 자가망과 무선통신망을 구축하여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는 정보서비스 제공 실현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
○ 공간정보 수요자의 요구에 원활히 대응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여 행정, 정책, 서비스를 혁신적으로 개선

정책사업
u-행정오피스
○ 대민 서비스 고도화 및 행정업무 수행의 효율화를 위해 현장/원격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Web은 물론 PDA/휴대폰/DTV서비스 기반 구축
u-Life서비스
○ 웹 기반 대민생활정보 서비스를 세분하여 고객별 다양화 및 지리정보와의 연계를 통한 보다 실감나는 정보제공
○ 휴대폰.DTV.스마트카드 등 멀티디바이스 서비스 및 CRM체제를 통한 시민의 서비스 이용성향 분석 등 실현
u-Care서비스
○ 도시광역의료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으로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긴급 의료지원 체계 구축과 장애인, 노인, 아동을 위한 위험 환경으로부터의 보호체계 구축 등 적극적 안전서비스 실현
u-Edu서비스
○ 양적, 질적으로 증가하는 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모바일 및 IPTV/DTV 기반의 교육환경 구축과 교육 컨텐츠 라이브러리 구축 등 실현
UTS
○ 성남시 현안사항인 교통정보수집 및 제공, 교통흐름 관리, 교통요금 자동징수 등을 위하여 필요한 서비스 및 체제 형성
u-Control
○ 공공시설물 관리 및 수질 대기 등 환경 관제, 자연 생태계 보존 및 방범・방재 체제 수립
u-City 공통서비스 플랫폼
○ 도시통합관제의 기반시스템으로써 다양한 응용과 요소기술, 통신기반상에서 정보서비스, 정보관제, 소프트웨어의 표준적 개발 및 유지관리 효율성을 높여 주는 통합시스템
용도공간정보화
○ 개발계획이 있는 새로운 공간과 시설물에 대하여 U-City 성남구현을 위한 표준적 정보통신 기술체계를 적용, 시공하도록 하는 최적의 표준과 지침을 마련하고 시공과정에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사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서비스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모바일버전
 
성남도시신문 l문화공보부 등록번호 다-1049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1989년 4월 19일
인터넷신문 : 성남도시신문 | 등록번호 경기 아 00011 ㅣ대표이사·발행·편집인 : 김종관 ㅣ 창간 : 2005년 10월 21일ㅣ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종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희망로87 (주)도시플러스 전화 : (031)755-9669, e-mail: press8214@hanafos.com 법인사업자 660-81-00228

Copyright ⓒ 2001 sungnammail.co.kr All rights reserved.